교육목표
경영학과의 교육목표
- Biz Dreamer 인규베이팅미래형 실천역량 기반 비즈니스 체인지메이커 양성
tu-경영학과의 목표체계
tu-경영학과의 목표체계는 학과의 존립의의를 진술한 미션, 미션 실천의 미래상이라고 할 수 있는 비전, 비전 달성을 위한 목표, 그리고 목표달성을 통한 비전구현의 방법인 전략으로 구성된다.
미션
tu-경영학과의 미션은 자본과 시장의 논리만이 아니라 지구적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기업가 정신 충만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시대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과 교육매체 그리고 교수학습방법을 실천하는데 있다
비전과 목표
우리 학생들이 비즈니스 분야에서 자신의 꿈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실천역량을 함양하여 소속 조직과 사회에서 체인지 메이커가 될 수 있도록 육성한다는 의미를 담아서 학과 비전을 ’Biz Dreamer 인규베이팅‘으로 정립하였다. 또한 비전 실천지향을 통해 2026년까지 5개년 계획의 발전목표를 ’Top 20 business schools in local universities’ 로 설정하였디.
전략
약탈적 경쟁환경과 열악한 보유자원을 감안할 때, 메이저 학과들과 경쟁하여 미션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학과 교육체계를 특성화해야 하고 지속적 혁신을 통해 타대학과 차별화하는 길 밖에는 없기에 우리는 유일 특성화(the Only one, tu-경영학과)를 전략으로 수립하였다.
tu-경영학과의 목표체계
스위트 스팟
대학사회의 경쟁력 프로파일과 가치곡선을 살펴보면, 수도권 대학은 총학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지방 명문대에 비해 월등히 앞서 있는데 반해, tu-경영학과의 현실은 수도권 대학은 고사하고 지방 명문대와의 Gap 분석에서도 명확한 열위상태에 있음이 확인된다. 따라서 유일 특성화의 혁신은 레드오션마켓의 상태에 있는 현재와 미래에서 블루오션의 틈새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전략적 이니셔티브를 확보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학생 개인별 취업역량의 극대화이다.
tu-경영학과는 그 실천의 스위트 스팟(sweet spot)을 교육과정의 특성화에서 찾았다. 그러나 근(近)미래의 전략집단(수도권대학, 지역 명문대학)과 대등하게 경쟁하기 위해서는 학생만족 회귀형 교육체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집중적인 학생 튜터링 및 멘토링 프로그램이 발현조건으로 제도화되어야 한다. tu-경영학과의 유일 특성화는 교육과정의 특성화와 집중적인 학생 튜터링 및 멘토링 프로그램의 양날개에 의해 구현된다.
인재상과 교육과정
학과미션 실천의 미래상인 비전과 발전목표를 반영하여 인재상을 정립하였다. 전공일반 인재상은 Biz 디자이너이다. 전공전문 인재상에는 Biz 크리에이터, Biz 디벨로퍼, 사회적 혁신가 등이 있다. 전공일반 인재상 양성을 위하여 NCS 비즈니스 트랙, 전공전문 인재상 양성을 위해서는 로컬비즈니스 트랙, 스마트경영 트랙, 사회적경영 & NPO 트랙을 교육과정으로 설계하였다.
Biz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NCS비즈니스 트랙
[인 재 상]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도 경영목표와 사회적 책임의 실천을 통해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선도하는 인재
[교육트랙] 기업 맞춤형의 현장역량 보유 인재, 즉 취업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과정에 따라 전공기반 교육을 실시한다. Business & Management Literacy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경영학 분야 전공공통 역량을 학습한다.
Biz 크리에이터 양성을 위한 로컬비즈니스 트랙
[인 재 상] 창의혁신성을 바탕으로 지역에서 사업 아이템을 발견하여 비즈니스를 일구어내는 기업가정신이 충만한 인재
[교육트랙] 글로벌화가 확산되면서 가장 로컬한 것이야말로 진정한 글로벌성과 맞닿아 있음을 K-Culture가 입증하는 것처럼 로컬에 기반한 비즈니스의 창업과 Scale–up에 대한 실전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로컬 푸드, 로컬 브랜드, 로컬 편집숍 등 로컬 비즈니스의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로컬 비즈니스의 창업, 자금조달과 운영, SCM, CRM & SNS 등 기업가 역량 학습한다.
Biz 디벨로퍼 양성을 위한 스마트경영 트랙
[인 재 상] 디지털 유목기기 확산과 AI․빅데이터 기반 가치사슬의 지능화를 바탕으로 전통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스마트 비즈니스를 설계․개발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개발관리자
[교육트랙] 전통적인 가치사슬 경영의 프로세스를 AI, 빅데이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함으로써 비즈니스를 스마트화 하는 것을 수업내용으로 한다. AI 기반 소프트웨어 역량 육성을 통해 스마트 비즈니스 관리자, 경영 빅데이터 분석가, 디지털 혁신 창업가에게 요구되는 필요역량을 학습한다.
사회적 혁신가 양성을 위한 사회적경제 & NPO 트랙
[인 재 상] 공동체 가치지향성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한계를 넘어서 사회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체인지메이커
[교육트랙] 환경생태학적 위기,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 인권문제 등 자본주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문제들을 공동체적 접근을 통해 해결하는 국내외 사회적경제의 사례와 담론분석을 통해 사회적 기업가정신 학습하고. 사회적경제 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사회적경제 육성을 위한 제도적 환경과 사회적경제의 창업과 조직화에 대한 지식과 실무역량을 갖추도록 교육과정 기획 운영된다.
사회적 혁신가 양성을 위한 사회적경제 & NPO 트랙
[교수학습방법] 유일 특성화를 체현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tu-경영학과는 전공트랙별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정을 설치하고, 또한 학생 개인별, 집단별 지도학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고자 TU 멘토링 과정을 설계하였다.
- PLB(Project Based Learning) trail
융복합형 문제해결력을 지닌 현업의 직무능력을 양성하기 위한 캡스톤디자인 수업과정이며, 팀티칭을 통한 전공영역간 학제적 접근 혹은 산학연 협력적 접근을 특징으로 한다.
전공연구(元) | 전공연구(亨) | 전공연구(利) | 전공연구(貞) | |
---|---|---|---|---|
3학년 1학기 | 3학년 2학기 | 4학년 1학기 | 4학년 1학기 | |
로컬비즈니스 track 스마트 경영 track 사회적경제 & NPO track |
현장이슈 & 이론 담론의 동향분석 |
현장의 문제발견 & 선행연구 탐색 |
프로젝트 방법론 설계 및 수행 |
프로젝트 결과 분석 및 문서화 |
- TU 멘토링
TU 멘토링을 1~8까지 개설하고, 매학기 팀 티칭을 통해 졸업 때까지 3개 트랙의 전공동향을 공유함으로써 균형잡힌 전공역량을 양성한다.
[실천 이니셔티브] 목표체계 수행을 위한 유일 특성화(the Only one, tu-경영학과) 전략의 실천 이니셔티브를 STAR로 브랜딩하였다. STAR를 파자하면, S는 교수학습법에서 협업에 익숙한 자기주도형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을, T는 교육과정에서 시대정신에 부응하는 출구 맞춤형 교육과정(Target-focused curriculum riding the spirits of the times)을, A는 교육내용에서 현업 적응력을 지닌 협력학습 기반 액션러닝 콘텐츠(Action-learning concents promoting cooperative learning)를, R은 실천이론화에서 연구분석과 실무교육이 융합된 현장 문제해결형 교육(Research based learning initiated by on-site problem solving)을 의미한다.
[실천 Map] 목표체계와 유일특성화 전략 및 STAR 이니셔티브의 실천Map을 파종기, 착근기, 생육기, 개화기, 결실기 등으로 구분하여 목표지표를 설정하였다.
파종기 seeding stage |
착근기 rooting stage |
생육기 growing stage |
개화기 flowering stag |
결실기 fruitng stage |
|
---|---|---|---|---|---|
시기 | ~ 2023. 2 | ~ 2024. 2 | ~ 2025. 2 | ~ 2026. 2 | 2026. 3 ~ |
핵심 지표 |
- 교육체계 재구축 | - 교육과정 재설계 | - 개방형 교육과정 도입(개설교과목군 30%) | - 개방형 교육과정 확대(개설교과목군 50%) | - 100% 개방형 교육과정 |
중요 의제 |
- 혁신 교육학습법 도입 - 학과 혁신체계 구축 - 창업동아리 결성 |
- 연구소/Lab 운영 - 지산학 협력사업 발굴 - 창업동아리 활성화 |
- 창업동아리 활성화 - 전공트랙 인턴십 도입 - 예비창업 모델개발 |
- 학과 생태계 구축 - 전공트랙 인턴십 확대 및 졸업요건화 - 예비창업 확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