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도 뚜잉챌린지장학 신청 안내
    2024년도 TU 글로벌 프로그램 신청
    2024학년도 2학기 전임교원 채용

교육과정

다전공 제도 개요

다전공제도는 주 전공 이외의 타 전공을 이수하여 학위는 취득하는 제도로, 크게 복수전공, 부전공, 융복합교육과정(연계전공, 융합전공, 복합전공, 자기설계전공, 마이크로디그리, 나노디그리)으로 구분됩니다.


다전공의 종류 및 이수요건

오른쪽으로 스크롤 해주세요
구분 개요 전공이수학점
19이후학번 18이전학번
주전공 다전공 학과
졸업학점
주전공 다전공
복수전공 • 2개 이상의 전공과정을 이수하고 각각의 학위를 동시에 취득하는 제도
• 졸업요건
  - 주전공학과: 오른쪽 주전공학점 + 그외 학과의 졸업기준
  - 복수전공학과: 오른쪽 다전공학점, 졸업시험/논문
• 학위증 수여: 각각의 학위증 수여
36 36 135
~
140
45 39
130 42 33
부전공 • 주전공 이외의 전공에서 기준학점을 이수하여 부전공으로 인정받는 제도
• 졸업요건
  - 주전공학과: 오른쪽 주전공학점 + 그외 학과의 졸업기준
  - 부전공학과: 오른쪽 다전공학점
• 학위증 수여: 주전공의 학위증에 부전공명 기재
51 21 135
~
140
45 21
130 42 21
연계전공 • 2개 이상의 학과, 학부 및 전공이 연계하여 구성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제도
• 개설과정은 아래 [연계전공개설현황] 참조
• 졸업요건
  - 주전공학과: 오른쪽 주전공학점 + 그외 학과의 졸업기준
  - 연계전공학: 오른쪽 다전공학점
 • 학위증 수여: 주전공의 학위증에 연계전공명 기재 
51 21 135
~
140
45 21
130 42 21
융합전공 • 2개 이상의 전공이 융합된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전공으로 인정받는 제도
• 소속학과의 전공 교육과정을 따르지 않고, 융합전공 교육과정을 전공으로 이수
• 해당 융합전공의 참여학과 소속 학생만 신청 가능
• 개설과정은 아래 [융합전공개설현황 및 이수학점] 참조
• 졸업요건
  - 주전공학과: 전공학점을 제외한 학과 졸업기준
  - 융합전공: 전공학점(아래 융합전공개설현황 참조)
• 학위증 수여: 주전공의 학위증에 융합전공명 기재
- 아래
융합전공
개설현황
참조
전체학과 - 아래
융합전공
개설현황
참조
복합전공 • 학부 모집단위의 전공 소속 학생이 동일 학부 내 타 전공을 이수하고 인정받는 제도
• 졸업요건: 복합전공 21학점을 전공으로 포함하여 주전공 졸업기준
• 학위증 수여: 주전공의 학위증에 복합전공명 기재
복합전공을
포함한
주전공학점
21 전체학과 복합전공을
포함한
주전공학점
21
자기설계전공 • 교육과정을 스스로 구성하여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전공으로 이수하는 제도
• 졸업요건
  - 전공: 설계된 주전공학점 + 그외 학과의 졸업기준
  - 자기설계전공: 설계된 다전공학점 이수
• 학위증 수여: 주전공의 학위증에 자기설계전공명 기재
설계된
주전공학점
설계된
다전공학점
전체학과 설계된
주전공학점
설계된
다전공학점
마이크로디그리(MD)
및 나노디그리(ND)
• 2~6개 교과목으로 구성된 소단위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제도
• 이수요건: 신청한 마이크로디그리 또는 나노디그리의 교과목 이수
• 이수 완료한 디그리별 이수증 발급
소속학과
주전공학점
디그리별
6~15
전체학과 소속학과
주전공학점
디그리별
6~15

건축학과 5년제의 주전공 이수요건 별도 적용 (복수전공, 부전공, 연계전공 동일 기준)

   - 2015 이후 학번: 주전공 130학점 (건축BIM-SW연계전공인 경우 주전공 109학점)

   - 2014 이전 학번: 주전공 119학점 (건축BIM-SW연계전공인 경우 주전공 98학점)

※ 주전공과 다전공에 공통으로 개설된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최대 6학점까지 중복인정 가능


융합전공 개설현황 및 이수학점

융합전공명 전공이수학점 참여학과
글로벌비즈니스융합전공 75 국제통상물류학과, 유통물류학과(부), 글로벌비즈니스학과(부), 글로벌관광학과, 호텔관광학과(부)
메카트로닉스융합전공 81(필수12) 기계·로봇공학과(부), AI자동화설계공학과, 의료기기학과,전자및의용공학부
융합공학전공 81 미래자동차학과, 자동차공학과, AI자동화설계공학과, 냉동공조공학과, 전기제어학부, 전기공학과, 항만물류시스템학과,
기계·로봇공학과(부), 전자및의용공학부, 해양모빌리티학과, 조선해양공학과
IISC융합전공 81(필수6) 정보보호학과, 소프트웨어학과, AI학부, 게임공학과, 컴퓨터공학과

※ 융합전공은 참여학과 소속 학생만 신청 가능


연계전공 개설현황

연계전공명 주관학과 참여학과
건축BIM-SW연계전공 건축공학과 건축학과, 실내건축학과, 디지털미디어공학과(부)
글로벌SW창업연계전공 컴퓨터공학과 게임공학과, 소프트웨어학과, AI학부, 정보보호학과, 디지털미디어공학과(부)
지능기계(AI)SW연계전공 기계·로봇공학과(부) AI자동화설계공학과, 게임공학과
관광컨벤션(MICE)SW연계전공 글로벌관광학과 호텔관광학과(부), 정보보호학과
빅데이터SW연계전공 경영학과(부) 국제통상물류학과, 유통물류학과(부), 컴퓨터공학부
메타버스SW연계전공 시각디자인학과 게임공학과, 디지털미디어공학과(부), 실내건축학과
ESG창업연계전공 - 실내건축학과, 미래자동차학과, 전기제어학부, 자동차공학과, 전기공학과, 해양모빌리티학과, 조선해양공학과
푸드창업경영연계전공 경영학과(부) 글로벌관광학과, 호텔조리베이커리학과, 호텔관광학과(부)
성인창업연계전공 미래융합대학 전학과

※ 연계전공 신청은 소속학과에 관계없이 신청 가능


다전공 신청

신청기간 매년 1월 첫째 주 / 7월 첫째 주 (상세일정은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조)
신청방법 미래교육프랫폼(tup.tu.ac.kr) 로그인 > Mypage > 학사정보 > 학적정보 > 학적변동관리 > [전과, 다전공 신청]
신청자격 • 유아교육학과, 간호학과, 미래융합대학 내 학과는 복수전공 또는 부전공으로 신청할 수 없음.
• 미래융합대학 소속학생은 미래융합대학 내에 개설된 다전공만 이수 가능
• 융합전공은 해당 융합전공 참여학과(전공) 소속 학생만 신청 가능
• 복합전공은 학부 모집과정의 전공 소속 학생에 한하여 소속 학부 내의 타 전공으로 지원 가능
유의사항다전공 졸업학점을 이수하지 못할 경우 이수포기 신청
  다전공에서 정해진 학점이수(졸업자격 취득)를 하지 못할 경우 소속학과(주전공)의 졸업자격이 제한되므로,
반드시 다전공 이수 포기를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이수포기 시 학점처리
  다전공에서 취득한 성적 중 주전공에서 개설된 교과목의 경우 전공으로 인정되고, 주전공의 전공교과가 아닌 경우 자유선택 학점으로 인정됩니다.
  단, 복수전공을 이수하던 학생이 포기한 경우 복수전공의 취득학점이 21학점 이상이면 부전공으로 신청하여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 학사관리팀 051)629-0431